적응장애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적응장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안장애인성폭력상담소 조회 84회 작성일 23-04-04 16:47

본문

1. 개요[편집]

정신병의 일종. 정신사회적인 스트레스나 개인적인 스트레스를 겪은 후 일정기간 이내에 발생하는 감정적 내지 행동적 장애다. 간단하게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거의 대다수의 이상 행동을 말한다. 사람에겐 스트레스를 방어할 수 있는 방어벽이 있는데, 그 방어벽이 다른 사람보다 낮거나 아님 그 방어벽 위로 스트레스가 넘친다면 이렇게 된다.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방어벽 위로 스트레스가 쓰나미처럼 넘쳤다라고 보면 될 듯.

스트레스라는 원인에 의해 일어나기에 WHO의 ICD-10 질병분류코드가 PTSD와 비슷한 부류[1]에 포함되어 있다.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기에 스트레스 상태가 없을 땐 반응도 없어서, 일반적인 불안장애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적응장애 증상 중엔 불안, 우울, 반사회화적 행동(품행 장애) 등이 있다.

2. DSM 진단기준[편집]

DSM-5에선 적응장애의 판별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A. 인식 가능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반응으로 정서적 또는 행동적 증상이 확인 가능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되며, 스트레스가 시작된 후 3개월 이내에 나타나며, 스트레스 요인이 사라질 경우 6개월 안에 증상이 완화되어야 한다.
B. 증상이나 행동이 임상적으로 현저하며, 다음 중 한 가지 또는 모두에서 명백하다.
  1. 증상의 심각도와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맥락과 문화적 요인을 고려할 때 스트레스 요인의 심각도 또는 강도와 균형이 맞지 않는 현저한 고통
    2. 사회 또는 직업(학업)기능에서의 심각한 장애
C. 스트레스와 관련되는 장애는 다른 정신질환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며, 이미 존재하는 정신질환의 단순한 악화가 아니다.
D. 증상이 정상적 애도반응(사별)에 의해 나타난 것이 아니다.[2]
E. 스트레스 요인 또는 그 결과가 종료된 후에 증상이 추가로 6개월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 적응장애는 주로 직업적, 학문적 수행 능력의 감소 및 사회적 관계의 일시적 변화와 같은 증상이 동반됨. 또한 자살 기도나 자살의 위험도 증가와 관련이 있음.

85% 정도는 6개월 이내로 회복되는데 이를 급성 적응장애라 한다. 나머지 15%는 6개월 이상 가는데 이를 만성 적응장애라 한다.

3. 다른 질병과의 구분[편집]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나 급성 스트레스 장애 역시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고 볼수 있는데, PTSD나 급성 스트레스 장애보다 걸릴수 있는 스트레스 수준이 훨씬 낮다.[3]

사실 이 병이 무서운 건, (다른 정신병도 그렇지만) 자살 확률이 높아진다는 점에 있다. 전 연령대에서도 그러하며, 특히 젊은 사람이 자살하는 1/5 이상이 이 병과 관련이 있다고 할 정도이다. 또한 비율상으로 볼 때 적응장애 환자를 보면 여성이 남성의 2배 정도이며, 전체 중 5~21%의 사람들이 걸려있다고도 말을 한다.

그 외에도 갑작스런 문화적 충격[4] 역시 적응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4. 치료[편집]

4.1. 심리치료[편집]

스트레스적인 상황이 왜 자신에게 영향을 크게 미치는가를 알 수 있게 도와주고, 그것을 이해하면 적절한 대처 방법 또한 배울 수 있다. 비슷한 경험을 한 사람들끼리의 집단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단, 품행장애로 나타나는 적응장애일 경우 단순히 구출해 주려고 하지 말고 그들이 일으킨 행동 결과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게 해 주고 감정적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4.2. 약물[편집]

불안증상이 심할 때는 항불안제(anxiolyticss)를 사용하고, 불면증에는 수면제, 우울증이 있을 때는 항우울제를 사용하나, 가능한 단기간만 사용해야 한다.

대표자 : 박두순대표전화 : 041-592-6500팩스 : 041-592-6666이메일 : cdassd6500@hanmail.net
주소 : 충남 천안시 서북구 두정역서5길 4, 두정프라자 301호사업자등록번호 : 312-80-13827

Copyright © (사)충남장애인복지정보화협회부설 천안장애인성폭력상담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