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안장애인성폭력상담소 조회 633회 작성일 23-03-20 11:12본문
1. 개요
국제통화기금(國際通貨基金;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은 1945년 브레튼우즈 체제가 출범하면서 세계은행과 함께 창설된 국제 기구이다.
국내에는 1997년 외환 위기(통칭 'IMF 사태')를 계기로 많이 알려졌다.
선진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일정량 기금 형태로 출자해 기금을 조성한다. 특정 국가에 달러가 부족할 경우 달러를 융통해주는 기능을 하며, 국가별 특별인출권(Special Drawing Rights)에 맞춰 배당량(Quota) 형식으로 출자를 한다. 이 때문에 IMF 내에서 각 국가의 의결권도 특별인출권에 의한 배당량에 따라 부여받는다.
주로 유동성의 위기로 갑자기 달러화 부족을 겪는 국가나 방만한 재정 정책으로 외화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국가들[1]이 IMF에 구제 금융을 요청한다. 재정 지원을 받게 되면 해당 국가의 신용도가 깎이는 것은 물론이고, IMF의 지시에 따라 그 나라 경제 구조 자체를 재편해야 하는 것이 무서운 점이다. 명분은 경제 개혁이지만 그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기업 등이 외국에 싼 값으로 팔려나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구제금융을 받았던 국가들에게 IMF가 좋은 소리를 듣는 경우는 많지 않고, IMF의 정책에 따르는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정권이 뒤엎어지는 건 그나마 양반. 이집트 같은 경우 군사독재 정권이 재수립 되기도 하였다. 심하면 사회 갈등으로 전쟁까지 일어난 일도 있다. 그나마 긍정적인 사례는 동구권 체제 붕괴에 거드는 역할을 했다는 점 등의 정도가 있다.
IMF는 사안을 의결할 때 배당량 85% 이상의 찬성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미국은 17.86%를 가지고 있어서, 사실상 IMF 안건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미국이 동의하지 않으면 IMF는 어떠한 안건도 처리할 수 없다.[2] 투표권 참고 2018년 국제통화기금에서 파키스탄에 대한 구제금융안을 제의하자, 미국이 반대해서 부결시켰다. 미국의 거부권 행사 이유로는 직접적으로 중국을 겨냥했다. 미국이 대놓고 "파키스탄은 중국의 후원을 받는 국가이므로 IMF의 구제금융이 중국 공산당 정부로 흘러들어간다"는 것을 거부 이유로 내세웠다.
국내에는 1997년 외환 위기(통칭 'IMF 사태')를 계기로 많이 알려졌다.
선진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일정량 기금 형태로 출자해 기금을 조성한다. 특정 국가에 달러가 부족할 경우 달러를 융통해주는 기능을 하며, 국가별 특별인출권(Special Drawing Rights)에 맞춰 배당량(Quota) 형식으로 출자를 한다. 이 때문에 IMF 내에서 각 국가의 의결권도 특별인출권에 의한 배당량에 따라 부여받는다.
주로 유동성의 위기로 갑자기 달러화 부족을 겪는 국가나 방만한 재정 정책으로 외화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국가들[1]이 IMF에 구제 금융을 요청한다. 재정 지원을 받게 되면 해당 국가의 신용도가 깎이는 것은 물론이고, IMF의 지시에 따라 그 나라 경제 구조 자체를 재편해야 하는 것이 무서운 점이다. 명분은 경제 개혁이지만 그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기업 등이 외국에 싼 값으로 팔려나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구제금융을 받았던 국가들에게 IMF가 좋은 소리를 듣는 경우는 많지 않고, IMF의 정책에 따르는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정권이 뒤엎어지는 건 그나마 양반. 이집트 같은 경우 군사독재 정권이 재수립 되기도 하였다. 심하면 사회 갈등으로 전쟁까지 일어난 일도 있다. 그나마 긍정적인 사례는 동구권 체제 붕괴에 거드는 역할을 했다는 점 등의 정도가 있다.
IMF는 사안을 의결할 때 배당량 85% 이상의 찬성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미국은 17.86%를 가지고 있어서, 사실상 IMF 안건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미국이 동의하지 않으면 IMF는 어떠한 안건도 처리할 수 없다.[2] 투표권 참고 2018년 국제통화기금에서 파키스탄에 대한 구제금융안을 제의하자, 미국이 반대해서 부결시켰다. 미국의 거부권 행사 이유로는 직접적으로 중국을 겨냥했다. 미국이 대놓고 "파키스탄은 중국의 후원을 받는 국가이므로 IMF의 구제금융이 중국 공산당 정부로 흘러들어간다"는 것을 거부 이유로 내세웠다.
2. 역사[편집]
2.1. 브레튼 우즈 체제와 IMF의 출범[편집]
18세기부터 국제금융체제를 지배하던 영국 파운드 스털링 중심의 금본위제가 제1차 세계 대전과 전간기 대공황을 거쳐 마감하면서 새로운 국제금융체제와 국제무역체제 대한 논의가 대두됐다. 그래서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되던 1944년 7월 22일 미국 뉴햄프셔 주의 브레튼우즈에서 국제연합 금융·재정 회의를 통해 브레튼 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가 출범하게 됐다. 이 브레튼 우즈 체제를 통해 IMF와 세계은행(IBRD)이 창설됐다. 하지만 국제무역기구(ITO)는 창설하지 못하고 50년 동안 무역과 관세에 관한 일반협정 체제(GATT 1947)에 의해 유지되다 비로소 1995년 우루과이 라운드(GATT 1994)가 시행되면서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하게 된다. IMF의 첫 참가국은 29개국이었고 1947년 3월 1일 IMF 협정이 발효되어 업무 개시, 국제연합과 협정을 맺어 전문 기관이 되었다.
IMF 설립 최초에는 미국 달러화와 연동된 금태환제를 기초로 한 고정환율제로 운영됐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만일 나무위키국이 유동성의 문제로 달러가 급히 필요한데 달러화를 융통하기 위해 나무위키국이 보유한 금 1온스를 IMF에 내고 이에 상응하는 35달러를 받는 작용원리였다. 즉 통화 스와프(Monetary Swap)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원칙적으로는 ±1% 범위 내에서 변동환율 조정이 가능하며, 국제수지의 근본적인 불균형이 있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그 이상의 변동이 허용된다. 미국은 달러화를 융통해 주는 대신 어느 정도 통화수지의 적자는 감수해야 했지만 2차 세계 대전 직후 세계경제를 재편한 미국의 정책 때문에 가능한 얘기였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의 국가들이 전후 경제 부흥을 통해 세계경제의 강대국으로 발돋움 했고, 미국은 베트남 전쟁을 일으키면서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가 늘어나게 되자 이 브레튼 우즈 체제는 서서히 붕괴되기 시작했다. 또한 많은 나라들이 달러를 필요로 하지만 미국도 국가이기에 통화수지 정책을 시행하는 데 있어 무작정 달러를 찍어낼 수는 없기에 자연스럽게 달러화의 유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겼고, 이와는 반대로 달러화의 국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달러를 무작정 찍어내면 그만큼 달러화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도 생기게 되면서 이른바 '트리핀 딜레마(Triffin Dilemma)'에 빠져들고 말았다.
IMF 설립 최초에는 미국 달러화와 연동된 금태환제를 기초로 한 고정환율제로 운영됐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만일 나무위키국이 유동성의 문제로 달러가 급히 필요한데 달러화를 융통하기 위해 나무위키국이 보유한 금 1온스를 IMF에 내고 이에 상응하는 35달러를 받는 작용원리였다. 즉 통화 스와프(Monetary Swap)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원칙적으로는 ±1% 범위 내에서 변동환율 조정이 가능하며, 국제수지의 근본적인 불균형이 있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그 이상의 변동이 허용된다. 미국은 달러화를 융통해 주는 대신 어느 정도 통화수지의 적자는 감수해야 했지만 2차 세계 대전 직후 세계경제를 재편한 미국의 정책 때문에 가능한 얘기였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의 국가들이 전후 경제 부흥을 통해 세계경제의 강대국으로 발돋움 했고, 미국은 베트남 전쟁을 일으키면서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가 늘어나게 되자 이 브레튼 우즈 체제는 서서히 붕괴되기 시작했다. 또한 많은 나라들이 달러를 필요로 하지만 미국도 국가이기에 통화수지 정책을 시행하는 데 있어 무작정 달러를 찍어낼 수는 없기에 자연스럽게 달러화의 유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겼고, 이와는 반대로 달러화의 국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달러를 무작정 찍어내면 그만큼 달러화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도 생기게 되면서 이른바 '트리핀 딜레마(Triffin Dilemma)'에 빠져들고 말았다.
2.2. 스미소니언 협정-킹스턴 체제를 거쳐[편집]
이렇게 브레튼 우즈 체제가 서서히 붕괴되는 과정에서 미국과 IMF는 이를 막아보고자 1971년 12월 미국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모여 스미소니언 협정을 출범했다. BW 체제에서 금 1온스=35달러의 금 태환을 금 1온스=38.02달러로 조정, 미국 달러의 평가절하와 여기에 상응하는 독일 마르크화 일본 엔화의 대 달러화에 대한 평가절상에 합의했다. 또한 브레튼 우즈 체제에서 합의한 ±1% 변동환율폭도 2.25%로 넓히게 됐다.
하지만 이 스미소니언 체제도 2년도 안 되어 파기되고 다시 금 1온스=42.22달러로 다시 한번 평가절하 되지만 이마저도 1973년 오일 쇼크로 인한 세계경제의 둔화라는 크리를 먹으며 이것 역시 붕괴되고 만다.
결국 1976년에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기존의 미국 달러화와 연동된 금 태환제를 포기하고 대신 과도한 환율 조작을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가의 외환시장 개입을 존중하여 국가가 고정환율제와 변동환율제를 자유롭게 선택하게 하는 킹스턴 체제가 출범하게 된다. 또한 미 달러화 연동 금 태환제의 포기에 대한 보완으로 각국의 경제 능력에 맞춰 특별인출권(Special Drawing Rights)을 지급하여 IMF의 펀드 출자와 비상시 각국이 달러화를 융통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했다.
이후 국제금융질서는 1944년 브레튼 우즈 체제의 기본 방향과 킹스턴 체제의 협정 내용에 의해 운용돼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3]
21세기에 들어서 신흥국들이 부상함에 따라 미국과 유럽 역시 그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다. 2010년 G20 경주 재무장관회의에서는 기존에 과대평가를 받았던 유럽 국가들의 특별인출권과 쿼터를 줄이는 대신, 과소평가를 받던 신흥국의 특별인출권과 쿼터를 늘렸다. 그리고 그 동안 IMF 사무총장이 미국이나 유럽 출신이었던 관례를 깨고 2012년에 중국 경제학자 린젠하이(林建海)를 IMF의 새 사무총장으로 임명했고, 뒤이어 세계은행 총재에 한국계 미국인인 김용(Jim Yong Kim) 전 다트머스 대학교 총장을 임명했다.
2015년 12월에 중국 위안화가 10.92%의 비율로 미국 달러 , 유로화 다음으로 3위의 특별인출권이 되었다.
하지만 이 스미소니언 체제도 2년도 안 되어 파기되고 다시 금 1온스=42.22달러로 다시 한번 평가절하 되지만 이마저도 1973년 오일 쇼크로 인한 세계경제의 둔화라는 크리를 먹으며 이것 역시 붕괴되고 만다.
결국 1976년에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기존의 미국 달러화와 연동된 금 태환제를 포기하고 대신 과도한 환율 조작을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가의 외환시장 개입을 존중하여 국가가 고정환율제와 변동환율제를 자유롭게 선택하게 하는 킹스턴 체제가 출범하게 된다. 또한 미 달러화 연동 금 태환제의 포기에 대한 보완으로 각국의 경제 능력에 맞춰 특별인출권(Special Drawing Rights)을 지급하여 IMF의 펀드 출자와 비상시 각국이 달러화를 융통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했다.
이후 국제금융질서는 1944년 브레튼 우즈 체제의 기본 방향과 킹스턴 체제의 협정 내용에 의해 운용돼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3]
21세기에 들어서 신흥국들이 부상함에 따라 미국과 유럽 역시 그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다. 2010년 G20 경주 재무장관회의에서는 기존에 과대평가를 받았던 유럽 국가들의 특별인출권과 쿼터를 줄이는 대신, 과소평가를 받던 신흥국의 특별인출권과 쿼터를 늘렸다. 그리고 그 동안 IMF 사무총장이 미국이나 유럽 출신이었던 관례를 깨고 2012년에 중국 경제학자 린젠하이(林建海)를 IMF의 새 사무총장으로 임명했고, 뒤이어 세계은행 총재에 한국계 미국인인 김용(Jim Yong Kim) 전 다트머스 대학교 총장을 임명했다.
2015년 12월에 중국 위안화가 10.92%의 비율로 미국 달러 , 유로화 다음으로 3위의 특별인출권이 되었다.
3. 한국과의 관계[편집]
대한민국은 1997년 11월 21일 외환보유고 파탄으로 결국 이 기구로부터 외화를 조달받는 대가로 국내 경제 구조를 전반적으로 거의 재편하는 수준의 강도 높은 요구 사항에 순응해야 했다. 김영삼 임기 말에 재정 파탄 사태가 터지는 바람에 다음 대선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였던 김대중, 이회창, 이인제 후보 모두 대통령에 당선되면 IMF의 구제금융을 받으며 경제 구조를 재편하겠다는 문서에 서명하고 선거를 치렀다. 따라서 유력 후보 중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더라도 대한민국 경제 구조는 신자유주의 방식의 극단적 불균형으로 재편될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 대신 김대중 정부 시기의 사회안전망 구축[4]으로 균형은 맞추게 되었다.
당시의 혼란의 원인을 제공한 주체가 IMF가 아니었던 만큼 학술적인 자리에서는 'IMF 사태'보다는 1997년 외환 위기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학술적인 정식 명칭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를 많이 사용한다. 당시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연쇄적으로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이 IMF에서 돈을 빌린 것은 1998년이 처음이 아니다. IMF 공식 자료. 1965년부터 1985년까지 지속적으로 IMF에서 돈을 빌렸으나 1997년 외환 위기와 같은 IMF 관리 체제는 아니었다. IMF 대출 계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마이너스 통장과 같이 제한된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빌릴 수 있는 차입예약협정(Stand-by Agreement)과 무제한 한도인 대신 1998년 IMF 사태와 같이 부채 상환이 완료될 때까지 IMF가 경제 정책을 좌지우지하는 긴급수혈자금(Supplemental Reserve Facility)으로 나뉘어진다. 위의 링크 내용과 같이 지금까지 대한민국이 IMF에서 돈을 빌린 횟수는 차입예약협정과 긴급수혈자금 모두 합쳐 18회이지만 긴급수혈자금은 1997년이 처음이었고 IMF의 강도 높은 경제 개혁으로 인해 그 충격파가 어마어마했던 것이다.[5]
당시의 혼란의 원인을 제공한 주체가 IMF가 아니었던 만큼 학술적인 자리에서는 'IMF 사태'보다는 1997년 외환 위기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학술적인 정식 명칭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를 많이 사용한다. 당시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연쇄적으로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이 IMF에서 돈을 빌린 것은 1998년이 처음이 아니다. IMF 공식 자료. 1965년부터 1985년까지 지속적으로 IMF에서 돈을 빌렸으나 1997년 외환 위기와 같은 IMF 관리 체제는 아니었다. IMF 대출 계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마이너스 통장과 같이 제한된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빌릴 수 있는 차입예약협정(Stand-by Agreement)과 무제한 한도인 대신 1998년 IMF 사태와 같이 부채 상환이 완료될 때까지 IMF가 경제 정책을 좌지우지하는 긴급수혈자금(Supplemental Reserve Facility)으로 나뉘어진다. 위의 링크 내용과 같이 지금까지 대한민국이 IMF에서 돈을 빌린 횟수는 차입예약협정과 긴급수혈자금 모두 합쳐 18회이지만 긴급수혈자금은 1997년이 처음이었고 IMF의 강도 높은 경제 개혁으로 인해 그 충격파가 어마어마했던 것이다.[5]
4. 평가[편집]
1997년 외환위기 당시 IMF는 고금리 정책과 구조조정 정책을 한국에 요구했고 이로 인한 엄청난 정리해고와 뒤이은 비정규직법의 등장으로 1997년 외환 위기 이전과 이후의 한국 사회는 많이 다른 사회가 되었다. 외환위기 당시 사회적 혼란이 극에 달했기 때문에 IMF를 한국을 침탈하는 외세로 보던 사람들이 제법 있었다. 그리스 경제위기 때는 한국보다 더 나라 꼴이 개판인 그리스에, 오히려 한국보다 훨씬 더 관대하고 온건한 긴축안을 제시하면서 "그리스보다는 사정이 나았던 한국은 그렇게나 죽어라고 줘패서 헬게이트를 열어 놓은 놈들이, 정작 한국보다 더 꼬라지가 개판인 그리스는 같은 서구국가라고 솜방망이로 봐주는 거냐?" 라면서 IMF를 욕하는 한국인들도 적지 않게 나왔다. 사설 - 인종차별적인 IMF의 이중잣대 안 고쳐도 욕처먹고 고쳐도 욕처먹고. 그러게 평소에 다른 나라 상대로 적당히 좀 해쳐먹지[6]
비단 한국만의 일은 아니고 중남미 국가나 동유럽 국가,[7][8] 현재 남유럽 국가들도 이런 이유로 IMF를 싫어하는 경향이 많다.
IMF를 불을 끄는 소방서에 비유한다면, 화재 진압을 하면서 대신 화재 방지 차원으로 건물 개조 계약서에 먼저 서명을 받는 셈이다.[10]
1980년대 이후 제3세계의 외채위기[11]를 빌미로 미국은 IMF를 가지고 새로운 판짜기를 시도했다. 1980년대에는 베이커 플랜, 1990년대에는 브래디 플랜이 IMF의 요구를 대표하여 등장했다. 1980년대에는 위기가 발생한 이유를 유동성의 부족에서 찾았다. 즉 자금의 통로만 터주면 제3세계가 국내 산업을 육성하느라 투자한 고정 자본을 곧 회수할 수 있으리라 본 것이다. 자금 중심적이던 IMF의 관점은 이후 구조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때문에 IMF 패키지 정책이라는 것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구조조정에 대한 요구로 정리될 수 있다. 구조조정의 핵심적 요구들은 다음과 같다. 공기업을 민영화하고, 고금리로 해외 자금을 유치하고, 구조조정과 노동시장 유연성을 늘리고, 정부의 재정 지출을 대폭 삭감하라는 것이다.
IMF 패키지를 통해서 제3세계 국가들은 쑥대밭이 되었다. 물론 유고슬라비아와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도 마찬가지로 외채 문제 때문에 IMF 패키지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았고, 결국 이들 나라의 경제 붕괴를 촉발시켜 체제를 전환시키는 데 간접적으로나마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경제위기가 일어나 부마 항쟁을 촉발시켰다. 이후 전두환은 물가를 잡기 위해 갖은 방법을 동원하며 긴축정책을 펼치게 되며, 그러다가 80년대 중반에 '3저 호황'이 일어나서 경제위기에서 벗어났다. 이것은 서유럽과 미국 등의 자본이 거의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IMF의 속성 때문에 발생한 일이다. 이런 일이 세계적으로 벌어졌던 것은 미국과 영국에서 고금리 정책을 취하면서 제3세계 국가들이나 동구권 국가에서 이자율이 급속히 상승했기 때문이었다. 한창 이자율이 낮았을 때 빌린 돈을 갚을 시기가 되자 이자율이 올라가 갚을 빚이 급속히 늘어났던 것이다. 그러나 늘어나는 빚에 대한 본격적인 대책은 80년대 후반에나 나왔고, 그 사이에 많은 제3세계 국가들이 파산해버리고 말았다. 이를 '워싱턴 컨센서스'라고 부르는데, 이에 반대하여 조지프 스티글리츠와 같은 IBRD 측의 인사들이 포스트-워싱턴 컨센서스를, 중국에서는 베이징 컨센서스 같은 것을 내세우기도 하였다.
IMF에 워낙 호되게 데여서인지 한국 현대 판타지 소설중 기업인이 되는 소설은 환생자라 미래의 기억을 통해서 IMF를 예방한다거나 하는 소설이 있다.
또 한국 정부의 재정정책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쳤기에 관계자들은 농담삼아 기획재정부의 가장 깊은 곳에는 IMF에 대한 척화비 하나쯤은 서 있을 거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비단 한국만의 일은 아니고 중남미 국가나 동유럽 국가,[7][8] 현재 남유럽 국가들도 이런 이유로 IMF를 싫어하는 경향이 많다.
IMF를 불을 끄는 소방서에 비유한다면, 화재 진압을 하면서 대신 화재 방지 차원으로 건물 개조 계약서에 먼저 서명을 받는 셈이다.[10]
1980년대 이후 제3세계의 외채위기[11]를 빌미로 미국은 IMF를 가지고 새로운 판짜기를 시도했다. 1980년대에는 베이커 플랜, 1990년대에는 브래디 플랜이 IMF의 요구를 대표하여 등장했다. 1980년대에는 위기가 발생한 이유를 유동성의 부족에서 찾았다. 즉 자금의 통로만 터주면 제3세계가 국내 산업을 육성하느라 투자한 고정 자본을 곧 회수할 수 있으리라 본 것이다. 자금 중심적이던 IMF의 관점은 이후 구조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때문에 IMF 패키지 정책이라는 것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구조조정에 대한 요구로 정리될 수 있다. 구조조정의 핵심적 요구들은 다음과 같다. 공기업을 민영화하고, 고금리로 해외 자금을 유치하고, 구조조정과 노동시장 유연성을 늘리고, 정부의 재정 지출을 대폭 삭감하라는 것이다.
IMF 패키지를 통해서 제3세계 국가들은 쑥대밭이 되었다. 물론 유고슬라비아와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도 마찬가지로 외채 문제 때문에 IMF 패키지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았고, 결국 이들 나라의 경제 붕괴를 촉발시켜 체제를 전환시키는 데 간접적으로나마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경제위기가 일어나 부마 항쟁을 촉발시켰다. 이후 전두환은 물가를 잡기 위해 갖은 방법을 동원하며 긴축정책을 펼치게 되며, 그러다가 80년대 중반에 '3저 호황'이 일어나서 경제위기에서 벗어났다. 이것은 서유럽과 미국 등의 자본이 거의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IMF의 속성 때문에 발생한 일이다. 이런 일이 세계적으로 벌어졌던 것은 미국과 영국에서 고금리 정책을 취하면서 제3세계 국가들이나 동구권 국가에서 이자율이 급속히 상승했기 때문이었다. 한창 이자율이 낮았을 때 빌린 돈을 갚을 시기가 되자 이자율이 올라가 갚을 빚이 급속히 늘어났던 것이다. 그러나 늘어나는 빚에 대한 본격적인 대책은 80년대 후반에나 나왔고, 그 사이에 많은 제3세계 국가들이 파산해버리고 말았다. 이를 '워싱턴 컨센서스'라고 부르는데, 이에 반대하여 조지프 스티글리츠와 같은 IBRD 측의 인사들이 포스트-워싱턴 컨센서스를, 중국에서는 베이징 컨센서스 같은 것을 내세우기도 하였다.
IMF에 워낙 호되게 데여서인지 한국 현대 판타지 소설중 기업인이 되는 소설은 환생자라 미래의 기억을 통해서 IMF를 예방한다거나 하는 소설이 있다.
또 한국 정부의 재정정책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쳤기에 관계자들은 농담삼아 기획재정부의 가장 깊은 곳에는 IMF에 대한 척화비 하나쯤은 서 있을 거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5. 비판[편집]
국제 기구 상당수와 마찬가지로 미국과 영국 등 서방 강대국들의 영향을 상당히 받고 있다.[12] 세계무역기구, 세계은행과 더불어 세계화를 상징하는 3대 구성 요소. 앞서 중앙구조대에 비교했는데, 불을 끄는 것 자체의 필요성은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지만 그걸 빌미로 건물 개조를 하는 게 삽질에다가 중앙구조대에 예산 주는 곳이 불난 집을 최대한 털어먹을 수 있게 개조한다고 까는 편이다. 그리고 실제로도 그렇다. 또한 보고서를 날조해서 부채를 만들어낸 후 그걸 공표해서 해당 국가를 파산시킨 경우도 있다. 일 없으면 불을 질러서라도 일을 만드는 센스. 현재까지 확실히 밝혀진 건 과거 IMF의 직원이었던 사람이 나오면서 양심선언을 해서 확인된 트리니다드 토바고뿐이긴 하지만, 알게 모르게 이런 식으로 당한 나라가 많았다카더라. 물론 한국의 경우는 IMF의 공작은 아니었고, 외환 유동성 위기의 원인을 아무리 나쁘게 잡아도 투기 자본들 때문이다. 그러나 원체 IMF에 대한 이미지가 나쁜 한국이라 IMF의 공작이라 말해도 진짜 그런가 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무튼 IMF가 밀어붙인 구조조정으로 인해 실직한 사람이 많았다. 그런 사람들의 퇴직금을 노리고 벌어진 사기로 인해 그 피해자가 자살하거나, 직장에서 짤린 충격으로 자살, 또는 이때까지 모은 돈으로 증권 같은 곳에 투자를 했는데 휴지조각이 되어 그 충격으로 자살하는 등 금전적인 문제로 인해 자살하는 일들이 많이 발생하여 사회적인 이슈가 되었다. 이는 한국에서도 당시 한국의 외환위기는 기업의 부실경영과 정부의 잘못된 경제정책이 주 원인임에도 IMF하면 이를 가는 사람들이 지금도 있다.
페루의 알베르토 후지모리 정권 당시 페루 측에게 출산율을 줄이라는 권고를 했고, 후지모리는 이를 이행하기 위해 불법적 강제 불임수술을 자행했는데 IMF 측에서는 페루 정부가 이런 일을 하는 데에 간섭할 권리가 없다는 이유로 묵인했다. 후지모리 이전에 재임했던 알란 가르시아 정부가 은행 국유화 정책을 펼치자 페루에 대한 경제적인 지원을 완전히 끊어버려 페루를 파산 직전에까지 몬 것에 비하면 참으로 대조적이다. 이 외에 볼리비아나 아르헨티나, 브라질, 베네수엘라 등 여타 남미 국가에도 구조조정을 강요하다가 오히려 사회 구조가 막장화 되어버리는 바람에 반미 감정을 키워서 좌파 정당이 대거 집권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심지어 유고슬라비아 내전과[13] 소말리아의 막장화, 르완다 내전에도 IMF의 경제정책이 한 몫 했다는 분석도 있을 정도다.[14] 다시 말하면, 한국이 후유증을 안 겪었던 것은 아니지만 상황이 그나마 나았던 셈이다.
이는 2010년대에도 큰 변함이 없었다. 이집트에서는 구제금융 조건으로 생필품 가격과 공공요금을 폭등시켜 민심이 흉흉해졌다. 공공요금이 폭등하는 바람에 민주 정권이 다시 군사독재 정권으로 교체되는 촌극이 벌어졌다. 아이티에서 원조를 조건으로 휘발유 값을 리터당 5달러로 인상하도록 해 대규모 시위를 유발시키거나,[15] 니카라과에게 연금 삭감을 권고해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유발한다거나,[16] 아르헨티나나 태국에서 정권과 협력하는 조건으로 공공요금을 수십 배 이상 인상하는 등의 사례가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이 비정상적이라 할 만큼 외환보유고에 집착하는 것도 20세기 말 IMF의 쓰라린 구제금융의 기억과 관련이 있다. 외환이 모자라서 피를 봤던 대한민국, 태국, 인도네시아
아무튼 IMF가 밀어붙인 구조조정으로 인해 실직한 사람이 많았다. 그런 사람들의 퇴직금을 노리고 벌어진 사기로 인해 그 피해자가 자살하거나, 직장에서 짤린 충격으로 자살, 또는 이때까지 모은 돈으로 증권 같은 곳에 투자를 했는데 휴지조각이 되어 그 충격으로 자살하는 등 금전적인 문제로 인해 자살하는 일들이 많이 발생하여 사회적인 이슈가 되었다. 이는 한국에서도 당시 한국의 외환위기는 기업의 부실경영과 정부의 잘못된 경제정책이 주 원인임에도 IMF하면 이를 가는 사람들이 지금도 있다.
페루의 알베르토 후지모리 정권 당시 페루 측에게 출산율을 줄이라는 권고를 했고, 후지모리는 이를 이행하기 위해 불법적 강제 불임수술을 자행했는데 IMF 측에서는 페루 정부가 이런 일을 하는 데에 간섭할 권리가 없다는 이유로 묵인했다. 후지모리 이전에 재임했던 알란 가르시아 정부가 은행 국유화 정책을 펼치자 페루에 대한 경제적인 지원을 완전히 끊어버려 페루를 파산 직전에까지 몬 것에 비하면 참으로 대조적이다. 이 외에 볼리비아나 아르헨티나, 브라질, 베네수엘라 등 여타 남미 국가에도 구조조정을 강요하다가 오히려 사회 구조가 막장화 되어버리는 바람에 반미 감정을 키워서 좌파 정당이 대거 집권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심지어 유고슬라비아 내전과[13] 소말리아의 막장화, 르완다 내전에도 IMF의 경제정책이 한 몫 했다는 분석도 있을 정도다.[14] 다시 말하면, 한국이 후유증을 안 겪었던 것은 아니지만 상황이 그나마 나았던 셈이다.
이는 2010년대에도 큰 변함이 없었다. 이집트에서는 구제금융 조건으로 생필품 가격과 공공요금을 폭등시켜 민심이 흉흉해졌다. 공공요금이 폭등하는 바람에 민주 정권이 다시 군사독재 정권으로 교체되는 촌극이 벌어졌다. 아이티에서 원조를 조건으로 휘발유 값을 리터당 5달러로 인상하도록 해 대규모 시위를 유발시키거나,[15] 니카라과에게 연금 삭감을 권고해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유발한다거나,[16] 아르헨티나나 태국에서 정권과 협력하는 조건으로 공공요금을 수십 배 이상 인상하는 등의 사례가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이 비정상적이라 할 만큼 외환보유고에 집착하는 것도 20세기 말 IMF의 쓰라린 구제금융의 기억과 관련이 있다. 외환이 모자라서 피를 봤던 대한민국, 태국, 인도네시아